02-1 변수: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번지에 붙인 이름. 변수를 통해 프로그램은 메모리 번지에 값을 저장하고 읽을 수 있다.
변수 선언: 변수에 어떤 타입의 데이터를 저장할지 그리고 변수 이름이 무엇인지를 결정하는 것을 말합니다.
변수 사용: 변수의 값을 읽거나 변경하는 것을 말합니다. 변수는 출력문이난 연산식 내부에서 사용되어 변수에 저장된 값을 출력하거나 연산에 사용합니다.
변수 사용 범위: 변수는 자신이 선언된 위치에서 자신이 속한 블록 내부까지만 사용이 가능하고 밖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.
변수 작성 규칙
- 첫번째 글자는 문자,'$','_' 이어야하고 숫자로 시작할 수 없다.
- 영어 대소문자를 구분한다.
- 첫문자는 영어 소문자로 시작하되, 다른 단어가 붙을 경우 첫 문자를 대문자로 한다.
- 문자 수의 제한은 없다.
- 자바 예약어는 사용할 수 없다.
변수 초기화: 변수에 최초로 값이 저장될 때 변수가 생성 ex) int score = 90;
로컬변수:메소드 블록 내부에서만 사용되고 메소드 실행이 끝나면 메모리에서 자동으로 없어집니다.
변수 선언 주의사항
- 어떤 범위에서 사용될 것인가 생각하고 선언 위치 결정
- 메소드 블록 전체에서 사용하고 싶다면 메소드 블록 첫머리에 선언
- 특정 블록 내부에서만 사용된다면 해당 블록 내에 선언
02-2
리터럴: 소스 코드에서 프로그래머에 의해 직접 입력된 값
//기본적으로 컴파일러는 정수 리터럴을 int 타입으로 간주, 그래서 정수 리터럴이 int 타입의 허용범위를 초과하면 long타입임을 표시해서 알려야함. ex)long var4 = 100000000000L;
boolean 타입 :
주로 조건문과 제어문의 실행 흐름을 변경하는데 사용
정수타입 : 정수를 저장할 수 있는 타입으로 byte,short,int,long타입을 말합니다.
char타입 :
작은따옴표로 감싼 하나의 문자리터럴을 저장할 수 있는 타입(숫자로 써도 가능)
String타입 :
큰따옴표로 감싼 문자열을 저장할 수 있는 타입입니다.
실수타입 :
실수를 저장할 수 있는 타입으로 float,double타입을 말합니다.
boolean타입 :
참과 거짓을 의미하는 true와 false를 저장할 수 있는 타입입니다.
02-3 자동타입 변환 :
값의 허용 범위가 작은 타입이 허용범위가 큰 타입으로 저장될 때 발생(정수는 실수로 자동변환가능, 크기가 더 크니까)
※byte는 char보다 작지만 음수를 포함하므로 자동변환 안됨
강제 타입 변환:
값의 허용 범위가 큰 타입을 허용 범위가 작은 타입으로 쪼개어서 저장하는 것을 말합니다.
문자열 결합연산: 문자열과 +연산을 하면 다른 피연산자도 문자열로 변환되어 문자열 결합이 일어납니다.
Integer.parseInt() : 문자열 -> 정수 int타입으로 변환
Double.parseDouble(): 문자열->실수 double 타입으로 변환
String.valueOf():기본타입의 값->문자열 ex)String str1 = String.valueOf(10);
- byte,short의 경우 변수가 피연산자로 사용되면 int로 자동변환됨. 그러나 정수 리터럴의 경우는 해당 안됨
- ex) byte result = 10+20; sec02.ByteOperationExample 예제 참고
- +연산에서는 숫자+String = "문자"
02-4 변수와 시스템 입출력
- 자바는 기본 타입의 값이 동일한지 비교할 때는 ==를 사용하고, String(문자열)일 경우 equals()메소드를 사용합니다.
System.out.println():괄호에 주어진 매개값을 모니터로 출력하고 개행을 합니다.
System.out.print():위와 똑같은데 개행을 하지 않습니다.
System.out.printf(): 괄호에 주어진 형식대로 출력합니다.
System.in.read(): 키보드에서 입력된 키코드를 읽습니다.
<Scanner 예제>
Scanner :
키보드로부터 입력된 내용을 통 문자열로 읽기 위해 사용합니다.
scanner.nextLine()메소드:
엔터치기 전까지 키보드로부터 입력된 내용 읽어옵니다.

'JAVA > 혼자 공부하는 자바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Part4 조건문과 반복문 (0) | 2021.12.27 |
|---|---|
| Part3 연산자 (0) | 2021.12.27 |
| Part1 자바 시작하기 (0) | 2021.12.13 |